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미정상회담]미군 유해 송환은 청와대의 큰 그림?
- 청와대의 유해 발굴 계획 이후 북미 정상회담서 합의

- 트럼프 “유해 발굴, 회담 막판에 논의돼”



[헤럴드경제]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포로 교환과 미군 유해 송환은 양국 정상이 막판까지 협의를 이어간 만큼 향후 북미 관계 개선을 위한 중대한 기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가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미군을 포함한 참전용사의 유해발굴작업을 최우선적으로 진행하기로 한 만큼 양측의 합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과 북한은 신원이 이미 확인된 전쟁포로, 전쟁실종자들의 유해를 즉각 송환하는 것을 포함해 유해 수습을 약속한다”고 합의했다. 


양국이 미군 유해 발굴과 송환에 합의한 것은 우리 정부의 비무장지대(DMZ)의 평화적 이용 방안과도 궤를 같이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앞서 지난 6일 현충일 추념식에서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비무장지대(DMZ)의 유해발굴을 우선 추진하겠다“며 “미군 등 해외 참전 용사들의 유해도 함께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 문제가 회담의 막바지에 합의됐다”고 밝혀 우리 정부의 방침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그는 “(대통령) 선거 유세 과정에서 한국전에 참전한 내 아들, 내 아버지를 미국으로 데려와 달라는 요청을 많이 받았다”면서 “당시에는 양국의 사이가 좋지 않았지만 지금은 좋아졌기 때문에 가능해 졌다”며 유해 송환이 양국 관계 개선의 상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유해 발굴과 송환을 위한 실무작업들이 이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에 따르면 북한 지역 미군 전사자 유해발굴은 1990년에 시작돼 2007년까지 443구의 유해가 미국으로 송환됐다.

[사진= 연합 AP]


1990년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희망하던 북한이 그해 5월 판문점을 통해 미군 유해 5구를 최초로 송환한 걸 시작으로 1990~1994년 북한이 단독으로 발굴한 미군 유해 208구가 송환된 바 있다.

1996년부터는 북한 지역에서 북미 양국의 공동 유해발굴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함경남도 장진읍과 신흥리, 평안북도 운산군과 구장읍, 계천시 등지에서 진행된 북미 공동 유해발굴은 2005년까지 지속됐고, 229구의 미군 유해가 수습돼 미국으로 보내졌다.

유해 송환 작업은 2007년 4월 북한을 방문한 빌 리처드슨 미국 뉴멕시코 주지사가 6구의 미군 유해를 판문점을 통해 미국으로 옮긴 뒤 중단됐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에 따르면 한국 전쟁 당시 북한 지역에서 전사한 미군은 약 4100명으로 추정된다. 이중 상당수의 유해가 수습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14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개최되는 남북장성급군사회담에서 관련 논의가 본격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