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연정책 성공하려면 비만방지 보조정책 필요…금연시 비만 가능성으로 정책효과 약화”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정부가 건강증진을 목표로 담뱃세 인상과 혐오그림 삽입 등 금연정책을 펴고 있으나 담배를 끊으면 비만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정책효과가 약화되고 있는 만큼 비만을 막는 보조정책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성은 한국조세연구원 연구위원은 14일 ‘흡연이 비만에 미치는 효과’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최 연구위원은 흡연과 비만, 정부 정책 간의 상관관계를 재정학적으로 접근해 분석한 이 보고서에서 흡연율 감소가 비만도 증가로 이어진다는 사실이 증명된다면 정부의 담배 관련 정책효과를 추정할 때 이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흡연율 감소가 고혈압과 당뇨, 뇌졸중 등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비만으로 이어진다면 정책효과가 약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 연구위원은 2002∼2013년 국민건강보험 표본 코호트 자료 1200만개와 국가건강검진 자료를 결합, 고정효과 모형과 패널로짓 모형을 활용해 분석했다. 이 결과 담배를 끊은 사람은 비만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체중과 신장으로 계산한 체질량지수(BMI)를 분석한 결과 금연은 비만도와 양의 상관관계(0.081)가 나타났다.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난 다른 실험 요인은 음주(0.036), 운동 안 함(0.034), 고지혈(0.021) 등이었다.

최 연구위원은 금연 이후 비만도와 체중이 증가한다는 선후관계를 파악한 결과, 담배를 끊은 사람의 체중과 비만도가 증가하는 이유로 고지방 음식이나 당류섭취가 증가하는 등 보상심리로 식습관 변화 등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보고서는건강보험공단의 조사 결과 건강보험 총 진료비 지출 중 5.8%가 비만이 원인으로 나타났다며 “담배와 관련한 정부 정책이 여기에 수반되는 국민건강증진과 의료비 절감 효과는 비만의 증가로 일부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흡연은 폐암의 주요 발병 요인으로 금연을 유도하는 정책은 계속돼야 한다”며 “흡연율 감소만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금연자를 대상으로 한 식습관 개선 등 클리닉을 통해 비만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보조정책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주장했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