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연령대별로 보니, 고용의 질 악화 심화…30~40대 23만명↓ 60세 이상은 23만명↑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규모가 4만5000명으로 8개월 연속 10만명대 이하에 머문 가운데, 연령대별로 보면 경제 허리라 할 수 있는 30~40대 청장년 취업자가 23만명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은 23만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고령층을 제외하면 취업자 수가 사실상 20만명 가까이 줄어든 셈이다. 물론 고령층도 중요한 경제주체이며 이들의 취업도 매우 중요하지만, 이들의 고용의 질이 대체로 열악하다는 측면에서 전체적인 고용의 질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14일 통계청의 ‘9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가 4만5000명 증가한 가운데 30~39세 취업자는 -10만4000명, 40~49세 취업자는 -12만3000명의 감소세를 각각 기록했다. 30~40대 청장년층 취업자 감소 규모가 22만7000명에 달한 것이다.

반면 60대 이상 고령층 취업자는 23만3000명 늘어 연령대별로 볼 때 증가 규모가 가장 컸다. 15~29세 청년 취업자는 6000명 늘어 거의 제자리 걸음했고, 50~59세 중년 취업자는 3만3000명 늘었다. 60대 이상을 제외하면 취업자수가 18만8000명 줄어든 셈이다.

이처럼 청장년층과 고령층의 고용 사정이 극명하게 엇갈린 데에는 무엇보다 인구구조 변화의 영향이 매우 컸다.

같은 기간 연령대별 인구 변화를 보면 30대는 -11만7000명, 40대는 -11만3000명의 감소세를 각각 기록했다. 30~40대 전체로는 23만명 줄어든 것으로, 이들의 인구 감소 규모가 취업자수 감소 규모와 거의 비슷했다.

반면에 60세 이상 인구는 53만7000명 증가했다. 60세 이상 취업자 수 증가 규모보다 2배 이상 많은 인구가 늘어난 것이다.

15~29세 청년층 인구는 13만2000명 줄어, 이들의 인구 감소와 비교한 취업자는 비교적 양호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50~59세 인구는 7만6000명 증가해 이 연령층의 취업자 증가폭과 비슷한 움직임을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만으로는 고용시장 실태를 충분히 설명하기 어렵다. 실업률 지표를 보면 분명히 드러난다.

30~39세 실업자는 지난달 20만7000명으로 1년 전(16만6000명)보다 4만1000명 증가하면서 실업률도 2.8%에서 3.6%로 0.8%포인트 높아졌다. 40~49세 실업자도 같은 기간 13만4000명에서 16만6000명으로 3만2000명 증가하면서 실업률도 1.9%에서 2.4%로 0.5%포인트 상승했다. 지난달 30~40대 실업자가 34만1000명으로, 전체 실업자(102만4000명)의 3분의1을 차지했다.

60세 이상 실업자는 같은 기간 9만명에서 11만5000명으로 2만6000명 늘었고, 실업률은 2.0%에서 2.5%로 0.5%포인트 상승했다.

15~29세 실업자는 39만4000명에서 37만8000명으로 1만6000명 줄면서 실업률도 0.2%에서 8.8%로 0.4%포인트 낮아졌다. 50대 실업자는 14만8000명에서 15만9000명으로 1만명 늘어나면서 실업률은 2.3%에서 2.4%로 0.1%포인트 상승했다.

결국 30~40대의 경우 인구 감소와 함께 취업자도 줄었지만, 고용시장이 희망 일자리를 충족하지 못해 실업자와 실업률이 동반 상승한 셈이다. 60대 이상에서는 일자리 수 증가에도 늘어나는 고령층 인구를 흡수하는 데엔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취업자 증가를 60세 이상의 고령층이 주도하면서 일자리의 질은 더욱 열악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60세 이상의 경우 취업을 하더라도 고용의 안정성이나 임금 등 근로조건이 열악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안정되고 질 좋은 일자리를 찾는 30~40대는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하면서 실업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일자리 개선을 위해 5000명 안팎의 공공기관 단기 인턴 추가 채용과, 신중년 및 어르신들을 위한 동절기 맞춤형 일자리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총량적 고용지표를 일시 개선할 수는 있지만, 고용의 질적 개선과는 거리가 멀다.

고용의 핵심 주체인 민간 부문이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경기 활성화 및 고용 촉진 대책이 시급한 셈이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