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단기외채 관리 더 철저히 해야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후폭풍이 세계 금융시장을 초토화시켰다. 8일 한국을 비롯, 일본 중국 싱가포르 등 아시아 증시는 모두 3% 안팎의 폭락세를 보였다. 뒤이어 열린 유럽과 미국 증시 역시 최악의 검은 월요일을 피하지 못했다. 선진 7개국(G7) 재무장관이 ‘적절한 행동’을 다짐했지만 시장은 냉담했다. 그야말로 공포심리가 시장을 지배한 꼴이다. 반면 국제 금 시세는 초강세 속에 마침내 온스당 1700달러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한국 금융시장의 타격이 극심했다. 한국거래소는 이날 투매심리가 번지며 주가가 급락하자 프로그램 매매를 정지하는 사이드카를 발동하기에 이르렀다. 최근 5거래일 동안 코스피는 300포인트 넘게 빠져 아시아 증시 중 낙폭이 가장 컸다. 한국 시장이 유난히 출렁이는 것은 경제가 수출 위주로 짜여 대외 경제환경 변화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S&P의 신용 강등 조치는 더 강도 높은 미국의 재정 긴축을 요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대 시장인 미국이 지갑을 닫으면 세계 실물경제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영향받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지나치게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 두 차례 외환, 금융 위기를 겪으며 한국 경제의 체질은 많이 개선돼 웬만한 외부적 충격은 견딜 수 있다. 돈이 한국을 빠져나가도 갈 곳이 마땅치 않다. 일단 불안심리 차단이 급선무인 것이다. 그런 점에서 단기외채 관리가 중요하다. 한국의 대외채무는 7월 말 집계가 끝나면 4000억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우리 외환보유액이 3100억달러 남짓이나 40%에 이르는 단기외채 비중을 고려하면 안심하기 어렵다. 한꺼번에 많은 돈이 빠져나가면 불안심리가 가중돼 유동성 위기와 이에 따른 혼란이 불가피하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은행에 세 번 속았다”고 한 것은 일선 금융기관들이 외환유동성 관리를 더 치밀하게 하라는 무거운 질타다.

글로벌 경제환경이 단기간 내 개선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게다가 세계 경제를 이끌 구원투수도 없다. 이럴수록 정부는 추가적인 대외 환경 변화에 대비하는 것은 물론 거시경제 정책을 탄력적으로 운용해야 한다. 임기 말이라고 지나치게 목표에 집착하다 화를 불러올 수 있다. 정치권도 여야 없이 적극 협조해야 한다. 미국과 유럽의 위기는 부실한 재정 운용과 정치권 불협화가 화근이다. 경쟁적 복지 포퓰리즘을 자제하지 않으면 순식간에 그 전철을 밟게 된다.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