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방패도, 갑옷도 없다(?)…‘맨 몸’의 태극 투자 전사들...
돌에서부터 시작한 인류 무기의 역사는 창, 활, 칼, 총 등으로 발전한다. 그리고 이같은 공격무기 만큼이나 발전된 게 방패, 갑옷 등 방어체계다. 전쟁에서 ‘방어’는 공격만큼이나 중요하다. 공격을 무력화시키는 방어, 방어를 무력화시키는 공격이 전투의 본질이다.

코스피가 한 달여 만에 다시 수난이다. 지난 달에도 그렇더니 다른 아시아증시는 물론 글로벌 위기의 진앙지인 미국이나 유럽보다 또다시 더 출렁인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당장 시장내에서 약점의 핵심은 방어체계 부재다. 국내 투자자는 그럴 듯한 방패도, 갑옷도 없다. 모든 무장(武裝)을 갖춘 외국인의 매도공격 앞에 속수무책이다.

얼마전 국내 모 대형증권사의 투자상품담당 부서장에 물었다. “자문형랩이 과연 외국인의 매도공격, 특히 공매도 공격을 이겨낼 방법이 있나요?” 대답은 “사실상 없다”였다. 같은 질문을 자산운용사 대표, 펀드매니저, 심지어 투자자문사 대표에게 던졌다. 답은 다르지 않았다.

당장 시급한 게 공매도(short)다. 외국인은 공매도를 통해 주가하락을 수익기회로 활용한다. 그런데 국내 투자행위는 현물주식을 사거나, 파는 게 거의 전부다. 위험회피(hedge) 방법은 기껏 파생상품을 이용하거나, 투자대상을 분산시키는 정도다.

보유종목이 공매도 공격을 당할 때에도 가만 앉아 가치하락을 지켜보거나, 추가하락을 감수하고 매도에 나서 피격 노출을 줄이는 방법 뿐이다. 물론 일시적인 출렁임이라 무시하고 다시 오르기를 기다라거나, 매도물량을 받아내 주가를 방어해 공격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전자의 경우 시간을, 후자의 경우 자금을더 투입 해야한다. 기회비용의 증가다. 손해보지 않으려면 ‘귀신같이’ 미리 알고 피하는 게 최선이다.

최근 금융위원회가 헤지펀드 도입을 추진하면서 이제 국내 기관투자가에게도 공매도란 ‘공격무기’가 들려질 전망이다. 그럼 이제 공평해질까? 그렇지 않다.

지난 리먼브라더스 사태 때나 지난 8월처럼 시장이 혼란스러울 때마다 당국은 공매도를 금지시킬 수 있다. 한시적이라지만 공매도 전략을 택하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손발이 묶이는, 상당한 위험요인이다.

외국인도 같은 듯 하지만, 좀 다르다. 투자자산이 한국 외에도 전세계에 걸쳐 나눠져 있어 포트폴리오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반면 국내 투자자들은 해외투자가 자유롭지 못하다. 국내 주식양도차익은 비과세지만, 해외 주식양도차익은 과세다. 한쪽만 과세면 쏠림현상이 불가피하더. 분산을 막는 결정적 요인이다. 국내에서 아무리 분산을 해봐야 글로벌을 대상으로 분산할 때만 못하다. 해외투자를 통한 분산이 가능하도록 제도정비가 필요하다.

끝으로 국내 자본력의 증가다. 국내 증시 외국인 지분률은 30%, 지배주주 지분 40% 가량을 뺀 국내자금의 지분률은 40%다. 얼핏 수적 우위처럼 보이지만 외국인 지분의 운용주체는 거의 100%가 세계적 프로들이다. 반면 국내 자금 가운데 프로인 전문가들이 운용하는 자금은 20~30% 정도다. 이들의 실력이 모두 외국인보다 낫다 단정하기도 어렵다. 국내 자금의 증시투자 활성화, 투자전문인력 육성 등이 수반되야 비로소 국내 투자자들도 제대로 된 전투를 치를 수 있다.

<홍길용 글로벌증권부 차장 @TrueMoneystory>
kyhong@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