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포스코 기부 훈풍, 대기업 확산돼야
포스코 임직원들이 매달 급여 1%를 나눔운동에 기부하기로 했다. 정준양 회장이 앞장서자 본사, 계열사 부장급 이상 임직원들이 뒤를 이었고, 포스코 이사회까지 매달 전체 모금액과 동일한 기부금을 내놓기로 했다. 양극화 현상 심화와 청년 백수들의 무기력한 행진이 정치판까지 뒤집는 마당에 공기업으로 출발한 세계적 철강 대기업이 자발적 기부운동에 나선 것은 의미가 크다. 성장의 과실을 보다 많이 나누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포스코뿐만 아니라 상당수 기업이 이미 음지를 향해 크고 작은 기부 대열을 이뤄온 것은 사실이다. 현대오일뱅크, 한국야쿠르트, 우림건설 등 선각자들이 적지 않다. 개인 차원의 기부천사인 가수 김장훈 씨 등 뒤를 잇는 이들도 끊임이 없다. 특히 최근 방송인 박경림 씨는 둘째 아이 유산의 고통을 참아가며 “치료가 필요한 신생아들을 위해 써달라”고 1억원을 쾌척했다. ‘한반도’ ‘세화의 성’ 등 뛰어난 작품으로 70년대 문단을 뒤흔들어 놓았던 여류 소설가 손장순 씨도 7일 20억원을 모교인 서울대에 기부, 어려운 학생들을 도와달라고 했다. 또 전문적인 지식이나 서비스를 공익 차원에서 내놓는 이른바 재능기부도 있다. 예술인이든 작가든 대중가수든 요리전문가든 맘만 먹으면 돈 안 들이는 ‘명품 기부천사’가 될 수 있다.

지난해 통계에 따르면 세계기부지수(WGI)에서 한국은 153개국 중 81위를 차지했다. 중간에도 모자란다. 우리 국민소득이 작년에 2만4000달러에 이른 것과 비교하면 아직 멀었다. 대기업이 현재 논쟁 중인 한ㆍ미 FTA를 진정 맺고 싶다면 우선 나눔의 문화부터 확산시켜야 한다. FTA로 거래가 늘어 대한민국 수입이 늘어난다 해도 그게 소수 대기업가와 종사자들에게만 국한돼서는 명분을 얻기 어렵다. 수출로 번 돈을 일자리 확대와 세금, 기부 등으로 그늘진 사람들에게 갈 수 있게 하지 않는 한 국익에 필요한 정책마저 국민 공감을 얻기 어려운 것이다.

세계적 갑부들을 대상으로 기부서명운동을 주도하는 워런 버핏과 빌 케이츠의 정신이 먼 나라 전설처럼 들려서는 진정한 나눔은 요원하다. 포스코 등 대기업들이 솔선하는 기부문화가 보다 광범위하게 펼쳐져야 한다. 그게 바로 신자유주의를 비판하는 반(反)월가의 목청을 낮추는 방법이기도 하다.



연재 기사